테마요리
오늘의 요리
요리 베스트
맛있는 간식요리
나들이 요리
요리와 생활정보
깔끔한 디저트 만들기
맛집 베스트
레시피가 궁금해요
요리 abc
최고 맛집을 찾아라!
추천외식정보
유용한 요리상식
베스트 요리포토


유용한 요리상식

Home > 요리 > 유용한 요리정보 > 유용한 요리상식
유용한 요리상식
★담배 피우는 사...조회 313720  
피부에 좋은 음식조회 291098  
눌러붙은 계란찜 뚝배...조회 282460  
사골 끓이는 법조회 274829  
술 빨리 깨는 방법조회 205921  
매생이국 만드는법조회 200201  
감자,양파,당근,보관법조회 193261  
홍삼에 대해 잘못 알...조회 188776  
♧ 도시락을 예쁘...조회 187472  
옥수수 삶는 법조회 138815  

이전글 다음글 목록 

실패한 요리 되살리는 노하우

글쓴이: 크리스탈  |  날짜: 2010-03-19 조회: 3630
http://cook.ebiznetworks.co.kr/view.php?category=QkYTLUwwVTtNIxs%3D&num=EhpPdRI%3D&page=83   복사
레서피대로 정확히 조리했는데도 제대로 된 맛이 나지 않을 때가 있다. 그냥 먹기에는 맛이 없고 버리자니 아깝다. 그럴 때라도 걱정 말자. 실패한 요리라도 맛을 되살리거나 재활용할 수 있는 노하우가 있다.


실패한 요리 되살리는 노하우



● case 01 돼지불고기의 고추장 양념이 너무 많이 들어가 짜다

→ 양파, 양배추, 배추 등의 채소를 잘라 넣어 볶은 돼지불고기와 함께 팬에 넣고 한 번 더 볶아낸다. 그러면 짠맛이 한결 누그러지고 채소를 듬뿍 먹을 수 있어 좋다. 또 간이 짜게 된 불고기나 남은 불고기는 으깬 두부, 양파, 양배추 등과 함께 다져서 달걀, 빵가루를 넣고 둥글납작하게 빚어 프라이팬에 구워내면 매콤한 동그랑땡을 만들 수 있다.


● case 02 장아찌를 담았는데 새콤한 맛이 너무 강하다

→ 과일즙을 넣어주거나 사이다를 부어서 희석시켜 달달한 맛을 내게 한다. 또는 장아찌 소스만을 다시 끓여 식힌 다음 부어서 냉장 보관한다.


● case 03 오징어볶음을 했는데 국물이 너무 많이 생겼다

→ 찹쌀가루 또는 녹말가루를 물에 개어서 오징어볶음에 넣고 한 번 볶아준다. 또는 소면이나 당면을 삶아 함께 곁들이거나 밥을 비벼먹으면 좋다.


● case 04 닭다리구이를 오븐에 구웠는데 너무 태웠다

→ 물론 탄 요리는 그냥 쓰레기통으로 가는 것이 좋다. 그러나 닭처럼 껍질이 있는 것은 예외. 닭다리의 탄 부분 껍질을 모두 벗기고 살을 찢어서 레몬소스, 머스터드소스를 섞어 닭고기샐러드로 만들어도 된다.


● case 05 소고기국을 맑게 끓였는데 국물이 탁하고 맛이 없다

→ 냄비에 따로 물을 붓고 끓어오르면 어슷하게 썬 굵은 파를 넣어 잠시 익히고 고춧가루를 넣어 맛을 낸 육수를 준비한다. 이 육수를 소고기국에 넣어 함께 끓인다. 여기에 달걀을 풀어 넣으면 매콤한 소고기 굵은 파 육개장으로 변신시킬 수 있다.


● case 06 국을 끓였는데 국물이 싱겁고 깊은 맛이 나지 않는다

→ 국물 요리가 싱거울 때는 국간장이나 소금으로 모자라는 간을 하면 된다. 그러나 깊은 맛이 나지 않을 때는 밑 국물부터가 문제다. 조개나 돼지고기 등 깊고 감칠맛이 날 수 있는 재료를 따로 끓여 육수를 낸 후 이것을 넣고 다시 한 번 끓여준다.

 


실패한 요리 되살리는 노하우


● case 07 무생채를 만들었는데 물이 많이 생기고 맛이 없다

→ 고춧가루 물이 곱게 들지 않고 물이 생겼을 경우는 무생채 국물을 짜서 거기에 고춧가루를 넣고 불려서 넣는다. 또는 상추, 깻잎, 오이 등의 채소를 썰어 넣고 액젓을 양념으로 해서 버무려 새롭게 겉절이를 만들어 먹는다.


● case 08 멸치볶음을 했는데 물엿을 많이 넣었는지 딱딱하다

→ 원인은 물엿보다는 설탕에 있다. 볶을 때 넣었던 설탕이 녹았다가 다시 굳으면서 딱딱해진 것. 이럴 때는 청주나 맛술을 넣고 살짝 한 번 더 볶아내면 딱딱한 질감이 조금은 괜찮아진다. 또 뜨거울 때 참기름을 살짝 발라주면 딱딱하게 엉겨 붙는 것을 방지하고 고소한 맛을 더할 수 있다.


● case 09 생선조림을 했는데 양념이 잘 배지 않고 비린내가 난다
→ 비린내가 많이 날 경우 국물을 따라버린다. 거기에 물과 양념을 더 넣고 약한 불에서 뚜껑을 열어놓은 채 간이 확실히 배일 때까지 뭉근히 끓여준다.


● case 10 갈비찜을 했는데 고기 누린내가 난다

→ 갈비탕을 끓일 때 맛술이나 청주, 마늘, 생강, 굵은 파, 무 등을 넣으면 누린내 제거는 물론 국물 맛도 시원해진다. 또 끓이는 도중에 생기는 거품을 말끔히 걷어내는 것도 누린내 제거에 매우 중요.


● case 11 동태탕을 끓였는데 비린 맛이 많이 난다.

→ 동태탕은 동태를 넣은 뒤 비린내가 날아갈 때까지 충분히 끓이는 것이 좋다. 비린 맛이 나면 센 불에 올려 재빨리 한 번 더 끓여낸다. 이때 거품을 말끔히 걷어내고 다진 마늘, 양파채, 굵은 파 등의 향신채를 넣어 비린 맛을 잡아준다.


● case 12 자반구이를 했는데 너무 짜다

→ 생선살만 따로 발라내 다른 요리에 활용한다. 달걀물과 밀가루옷을 입혀 생선전을 부치거나, 튀김옷을 입혀 튀겨낸 다음 소스를 뿌려 생선탕수육을 만들 수 있다. 또 생선살을 믹서에 갈아 달걀, 빵가루 등과 함께 반죽해 생선가스를 만들어도 맛있다.


● case 13 갈비탕을 끓였는데 기름이 둥둥 뜨고 국물 맛이 느끼하다

→ 이미 완성된 갈비탕일 경우 식혀서 굳은 기름을 말끔히 걷어내고 다시 한 번 센 불에 우르르 끓인다. 이때 맛술, 청주, 마늘, 생강, 굵은 파 등을 넣어주면 누린내 제거는 물론 국물 맛도 시원해진다. 끓이는 도중에 생기는 거품을 말끔히 걷어낸다.


● case 14 나물 무침을 했는데 너무 짜다

→ 나물은 쉽게 물러지고 오랫동안 보관하기 힘든 재료다. 간이 싱거울 때야 양념을 더 넣고 무쳐주면 되지만 너무 짜게 되었을 때는 다른 재료와 함께 새로운 요리로 재탄생시키는 것이 좋다. 나물 무침을 잘게 썰어 밥, 달걀, 밀가루나 녹말가루를 조금 넣고 반죽을 해 나물전을 해먹어도 좋다.

이전글 다음글 목록 

총 게시글 1,356
No.제목글쓴이작성일조회
126암호 같은 식품 유통기한, 어떻게 알아보나?슬픈이별09-02-044587
125대파 한 단, 하나도 버리지 않고 야무지게 먹기파란구름09-02-034540
124쾌적 설거지 요령미야09-02-023967
123정월 대보름아픈마음09-02-014140
122온도의 과학 ! 소주는 8도, 커피는 70도...미야09-01-314011
121ª♥소금 알고 사용하는 지혜 20가지09-01-313907
120안전한 재료에 맛까지 좋은 ``대안 라면``사랑09-01-295246
119냉장고 정리의 달인이 말해주는 정리법!!!쏘이09-01-284322
118알찬 설날을맞기위한 스케줄어린새싹09-01-253786
117음식 색깔속에 건강이 쏙~슬픈이별09-01-244060
1165만원으로 고기 장봐서 차린 설음식애니랜드09-01-234923
115차례상에 올리면 안 되는 음식어린늑대09-01-224683
114설음식의 메인, 떡만두국 제대로 맛내기햇님09-01-214983
113혈액 속에 돌고 있는 지방을 없애는 식이요법어린새싹09-01-204298
112설 대목 ``중국산 짝퉁굴비`` 논란 재점화별님09-01-194879

검색

 돼지고기 김치찌게
 달콤한 고구마크로켓
 스트레스풀리는 화끈매운낙지
 길거리 토스트 만들기
 자취생이 좋아하는 저...
 싱글인 여동생을 위해...
 선물용 약식케익
 웰빙 새싹두부샐러드
 바삭바삭 맛있는 고구...
 고마운 밑반찬 어묵볶음.
무료문자
★담배 피우는 사람에게 ...
피부에 좋은 음식
눌러붙은 계란찜 뚝배기 깔끔...
사골 끓이는 법
생생한 색깔의 과일도시락 만들기
맥주에 대한 지식
직장맘을 위한 간단한 반찬 ...
전문가에게 배운 수육 맛있게...
하루동안 열지 않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