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마요리
오늘의 요리
요리 베스트
맛있는 간식요리
나들이 요리
요리와 생활정보
깔끔한 디저트 만들기
맛집 베스트
레시피가 궁금해요
요리 abc
최고 맛집을 찾아라!
추천외식정보
유용한 요리상식
베스트 요리포토


요리와 생활정보

Home > 요리 > 테마요리 > 요리와 생활정보
요리와 생활정보
한 봄나물 고르기&깔...조회 498994  
정현정 조애니스트에게...조회 414923  
[전국] 무한리필 맛...조회 409277  
과일효소 만들기조회 362983  
장마땐 쌀통 안에 통...조회 276798  
식욕을 촉진하는 포도주조회 271398  
한식요리 연구가 이종...조회 259412  
냉장고 냄새 원인과 ...조회 231618  
전자레인지와 식초로 ...조회 231383  
실생활에 도움되는 상식조회 227960  

이전글 다음글 목록 

밥과 다른 풍요와 행복 선사

글쓴이: 블랙로즈  |  날짜: 2010-10-23 조회: 3766
http://cook.ebiznetworks.co.kr/view.php?category=TUAYJQ%3D%3D&num=FBhJeA%3D%3D&page=113   복사

밥과 다른 풍요와 행복 선사

밥과 다른 풍요와 행복 선사

밥과 다른 풍요와 행복 선사
[Story in the Kitchen] (8) 빵
간단히 배 채우는 음식서 여유의 상징까지, 종류·가격 만큼 다양

'곡식 가루에 소금·설탕·기름·베이킹파우더나 이스트를 넣어 반죽하여 부풀려 굽거나 찐 음식.'

이 음식은 빵이다. 당연하겠지만, 이 사전적 정의는 빵이 갖고 있는 동서양의 다양한 문화적 감정을 총체적으로 보여주지 않는다. 한국인에게 밥이란 절절한 배고픔의 기억임을, 밥의 사전적 정의가 드러내지 못하는 것처럼.

밥과 빵이 동서양의 주식을 상징한다고 해도 두 음식이 빚어내는 감성은 사뭇 다르다. <빵과 장미>, <빵 굽는 타자기> 등 빵을 제목으로 한 대부분의 서구 문학작품에서 빵은 생명의 은유로 쓰인다. 그러나 빵이 곁다리 음식인 우리에게, 빵은 배부른 간식, 감자나 고구마보다 고급한 구황식품으로 비춰진다.

밥의 냄새는 비릿하면서도 구수하다. 그 냄새를 만드는 것은 오롯이 물과 쌀이다. 밥이 삶의 원동력인 우리에게, 이 냄새는 구휼의 상징으로 다가온다.

'전기밥통 속에서 밥이 익어가는 그 평화롭고 비린 향기에 나는 한평생 목이 메었다.' (김훈, '밥벌이의 지겨움' 중에서)

빵 냄새는 설탕과 기름이 빚어낸다. 달큰하고 고소하다. 이스트로 한껏 부풀지만, 매끈한 모양새를 유지하고, 버터와 계란물을 입힌 표면은 보는 이의 식욕을 자극한다. 이런 빵의 이미지에 대해 소설가 조경란은 이렇게 말했다.

'이름만 듣거나, 냄새 맡거나, 보기만 해도 풍요롭고 행복해 지는 것'. (유승준, <사랑을 먹고 싶다> 인터뷰 중에서)

빵이 밥과는 다른 풍요와 행복을 빚어낸다.

배부른 행복

우리나라 빵의 역사가 얼추 100년이 넘는다고 하지만, 빵이 국민 먹을거리로 도약(?)하게 된 것은 1960년대 전후다. 분식장려운동이 시작되면서 당시 학교에서는 학생들에게 옥수수빵과 가루 우유를 공짜로 나눠줬고, 삼립식품, 샤니, 기린 등 제빵공장이 생기면서 빵을 대량생산하는 시대가 열렸다.

70년대 생긴 '우리식 단팥빵', 찐빵은 겨울철 별미로 부각됐다. 대량유통, 배급되는 빵은 싼 값에 풍요와 행복을 선사했다. 이때의 행복은 배부름의 다른 이름이었을 게다. 얼마 전 한 주간지 설문조사에서 '빵에 대한 추억'을 논할 때 20~40대는 '학교 매점 등에서 사먹던 양산빵'을 가장 머릿속에 오래 남은 추억의 빵으로 꼽았고, 중장년층의 상당수는 '학교에서 우유와 함께 나눠주던 배식빵'을 꼽았다.

푸르스트의 소설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에서 주인공 마르셀이 홍차에 적신 마들렌을 입에 대다가 불현듯 유년기를 회상하게 된다. 우리나라 중장년층은 단팥빵과 크림빵, 찐빵을 베어 물 때, 어린 시절을 떠올리게 되지 않을까.

'충무로 뒷골목 허름한 빵집/커다란 가마솥에 쪄낸 찐빵// 유난히 예뻤던 언니를 쫓아다니는/ 남학생 여드름을 이상하게 바라보며/ 손바닥만한 뜨거운 찐빵/ 한 입 베어먹었을 때 그 달콤한 맛' (목필균, '낡은 기억 속으로 -빵집-' 중에서)

1970~80년대는 빵공장에서 만든 양산빵과 빵집에서 직접 만든 제과점빵이 공존하는 시대다. 양산빵이 싼값에 배부른 행복을 선사했다면, 제과점빵은 고급스런 취향을 드러내는 부와 여유의 상징이었다. 이때 빵집 아들로 태어난 소설가 김연수는 자전소설 <뉴욕제과점>에서 어린 시절을 이렇게 회상한다.

'예나 지금이나 내가 뉴욕제과점 막내아들이었다는 사실을 알게 됐을 때, 사람들의 반응은 늘 똑같다. 다들 "빵 하나는 엄청나게 먹었겠구만"이라고 말한다. 그 부러워하는 표정을 볼 때만은 재벌 2세도 마다할 만하다. 우리 어렸을 때만 해도 빵의 지위는 그처럼 높았다.' (<내가 아직 아이였을 때>, 뉴욕제과점 76페이지)

몸에서 정서로 넘어온 안락함

이 시골 빵집의 히스토리는 우리나라 현대를 압축한 것 같다. 작가는 김천 뉴욕제과에 주어진 세 번의 기회를 빌어 오늘의 한국사를 드러낸다. 처음 기회는 1980년대 전후다. 사람들은 그즈음부터 일상적으로 빵을 사먹기 시작한다. 설날에는 선물용 롤케이크, 2월에는 발렌타인데이용 초콜릿, 3월에는 화이트데이용 사탕, 6월부터 팥빙수 등 뉴욕제과점엔 계절마다 대목이 찾아온다.

두 번째 기회는 제 5공화국이 끝나갈 때쯤 찾아왔다. 이제 뉴욕제과점에서 대목 장사의 몫은 점점 줄어들기 시작했다. 손님들은 최신식 인테리어를 갖춘 제과점을 선호하기 시작했고, 바게트, 피자빵, 야채빵 등 서울에서 전해온 새로운 종류의 빵을 찾기 시작했다. 제빵사는 대구에서 이 신식 제빵 기술을 배워 김천제과점에 새 메뉴를 선보인다.

'내가 아는 한 마지막 기회가 뉴욕제과점에 찾아왔다. 김영삼 대통령이 세계화를 주창할 때만 해도 그게 무슨 소리인지 알 수 없었는데, 파리크라상이나 크라운베이커리 같은 대기업에서 운영하는 빵집이 그 작은 도시에도 생기고 나서야 우리는 그게 무슨 뜻인지 알 수 있었다.'(같은 책, 89페이지)

뉴욕제과점은 문을 닫지만, 세계화 바람을 타고 한 단계 업그레이드된 한국의 빵가게는 2000년대 또 한 차례 변화를 맞는다. 브런치 유행이다. 샐러드와 파스타 등 스타일이 변형되기는 해도, 브런치의 기본은 빵이다. 잉글리시머핀, 팬케이크와 베이글이 붐을 이룬 것도 브런치의 공이 절대적이다. 요즘에는 베이커리 카페가 유행하며 식사 대용 빵이 인기를 끌고 있다.

한국 사회의 20~40대의 라이프스타일에 영향을 주는 커다란 상징이 '뉴요커'라고 할 때, 이 스타일을 가장 적확하게 표현하는 음식이 커피와 빵이다. 아메리카노(이름에서부터 아이덴티티를 드러낸다)와 베이글을 먹고, 합리적으로 사고하는 쿨한 인간형. 이들에게 빵 한 점은 배고픔의 해결이 아니라, 여유로운 식사의 서곡처럼 보인다.

여전히 누군가에게 빵은 간단한 한 끼를 때우는 음식이지만, 뉴요커를 지향하는 젊은층에게 빵은 느긋한 식사를 상징하는 음식이 됐다. 빵이 풍기는 고소하고 달콤한 향은 안락한 기분을 선사한다. 이때의 풍요는 배부름보다 시간과 정서의 여유에서 비롯될 터다.

'프라이팬 위에 팬케이크를 굽고, 흥청망청 최고급 메이플 시럽을 뿌리고, 폭신한 우유거품을 만들고, 세상에서 가장 달콤한 캐러맬 마키아토를 만들었다. 팬케이크를 점심 대용으로 싸가지고 가는 손님들을 위해 공짜로 나눠줄 마들렌도 구웠다. 게다가 취미 삼아 한두 개씩 굽기 시작한 뉴욕식 컵케이크가 인기를 끌자, 안나는 자연스레 디저트 전문 가게로 탈바꿈할 수 있었다' (백영옥, <다이어트의 여왕> 33페이지)

편의점의 700원짜리 '김탁구 빵'과 홍대의 뉴욕식 컵케이크, 페이야드의 디저트 파이. 2010년 한국에는 수 만 가지 빵이 공존한다. 간단하게 배 채우는 음식부터 여유의 상징까지 빵의 의미는 종류와 가격만큼이나 버라이어티해졌다.

달짝지근한 맛의 부드러운 풍미, 고소한 향이 주는 안락한 정서. 빵은 밥과 다른 형식의 풍요와 행복을 선사한다.

이전글 다음글 목록 

총 게시글 2,515
여름 보양식 건강하게 즐기기여름 보양식 건강하게 즐기기조회: 2780
예로부터 우리 조상들은 여름철에 떨어진 입맛을 되살리고 기운을 내기 위한 목적으로 보양식을 즐겨 먹었다. 과거에는 균형 잡힌 영양 섭취가 어려워 지방과 단백질이 풍부한 보양식...
[ 네스다 | 2012-08-14 ]
시판 재료로, 섞어 만든 만능 딥소스시판 재료로, 섞어 만든 만능 딥소스조회: 2538
황금 비율로 섞어 만든 만능 딥소스 1 겨자바비큐소스비율만 잘 조절해 섞으면 시판 소스도 멋진 특제 소스로 만들어 즐길 수 있다. 겨자바비큐소스는 달콤한 바비큐소스에 ...
[ 앙큼꼬마 | 2012-08-14 ]
프랑스요리의 기초_ 냉수프 비시스와즈&쿨티배테르프랑스요리의 기초_ 냉수프 비시스와즈&쿨티배테르조회: 3009
프랑스 사람들이 즐겨 먹는 차가운 수프는 감자를 베이스로 한 비시스와즈와 채소의 깊은 맛을 느낄 수 있는 포타주 쿨티배테르가 대표적이다.   ◆ 비시스와즈 ...
[ 아인 | 2012-08-14 ]
요즘 열풍, 해독주스요즘 열풍, 해독주스조회: 2329
옛날에는 먹지 못해 병이 생겼지만 요즘은 과도한 섭취로 인해 생기는 병이 많다. 지방, 염분, 당분 등과 인스턴트 식품을 과하게 섭취해 몸에 독소가 쌓이고 질병이 유발된다. ...
[ 개나리 | 2012-08-14 ]
여름을 더욱 건강하게 우리 음청류 이야기여름을 더욱 건강하게 우리 음청류 이야기조회: 2080
우리 조상들이 오랜 세월 동안 즐겨 마셔온 음청류. 귀한 식재료로 정성들여 만든 우리의 전통 음청류는 색과 맛, 향이 조화를 이뤄 한여름 갈증 해소는 물론 여름에 부족하기 쉬...
[ 후루룩소녀 | 2012-08-14 ]
국수 예찬국수 예찬조회: 2010
뼛속까지 차가워지는 냉국수 생각이 간절한 요즘. 입안에 착착 감기는 쫄깃한 면발에 그릇째 들고 후루룩 마실 수 있는 시원한 국물의 냉국수 네 가지를 소개한다. 프랑스...
[ 츠키 | 2012-08-14 ]

검색

 돼지고기 김치찌게
 달콤한 고구마크로켓
 스트레스풀리는 화끈매운낙지
 길거리 토스트 만들기
 자취생이 좋아하는 저...
 싱글인 여동생을 위해...
 선물용 약식케익
 바삭바삭 맛있는 고구...
 웰빙 새싹두부샐러드
 고마운 밑반찬 어묵볶음.
무료문자
★담배 피우는 사람에게 ...
피부에 좋은 음식
눌러붙은 계란찜 뚝배기 깔끔...
사골 끓이는 법
생생한 색깔의 과일도시락 만들기
맥주에 대한 지식
직장맘을 위한 간단한 반찬 ...
전문가에게 배운 수육 맛있게...
하루동안 열지 않기